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

구현 능력 향상하는 3가지 방법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과정에서 많은 개발자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바로 '구현 능력'입니다. 알고리즘이나 자료구조를 이론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이를 실제 코드로 구현하는 것 사이에는 큰 간극이 존재합니다. 머릿속에서는 명확하게 이해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코드를 작성하려 하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지는 경험은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것입니다.이 글에서는 코딩 구현 능력을 향상하는 효과적인 방법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단순히 더 많은 문제를 풀기보다는, 구현 능력을 근본적으로 향상하는 접근법에 초점을 맞추겠습니다.인간 디버거가 되었다 생각하기프로그래밍에서 구현 능력을 향상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인간 디버거'가 되는 것입니다. 이는 컴퓨터가 코드를 실행하는 방식을 그대로 따라.. 2025. 3. 27.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코딩 시 고려할 사항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P)은 복잡한 문제를 더 작은 하위 문제로 나누어 해결하는 알고리즘 기법입니다. 이런 문제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처음 DP를 배울 때 점화식을 세우거나 구현하는데 어려워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DP 알고리즘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핵심 고려사항들을 살펴보겠습니다.배열의 정의 확실히 하기다이나믹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DP 배열의 정의를 명확히 하는 것입니다. 이 정의는 여러분이 풀고자 하는 문제의 상태를 정확히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dp[i][j]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한 문장으로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배열의 정의가 모호하면 점화식을 세우기 어려워지고, 잘못된 알고리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령, 최장 증가 부분 수열(.. 2025. 3. 26.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핵심 정리 코딩테스트에 거의 항상 출제되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DP)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DP의 기본 원리와 접근법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DP)은 처음 들으면 어려워 보이지만, 사실 중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적 귀납법과 비슷한 원리입니다.수학적 귀납법수학적 귀납법을 가볍게 복습해 봅시다. 어떤 주장이 모든 자연수에 대해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할 때, 우리는 두 단계로 나눠 증명합니다:기본 단계: 가장 작은 수(보통 1)에서 성립함을 보여줍니다.귀납 단계: n에서 성립한다면, n+1에서도 성립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예를 들어, "1부터 n까지의 자연수 합은 n(n+1)/2이다"라는 공식을 증명할 때:기본 단계: n=1일 때, 1 = 1(1+1)/.. 2025. 3. 25.
모른다는 것도 모르는 것을 알기 위해서 Unknown Unknown의 개념소프트웨어 개발 세계에서 "unknown unknown"이란 우리가 모른다는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지식의 영역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전 미국 국방장관 도널드 럼스펠드의 유명한 말에서 유래했습니다: "우리가 아는 것들이 있고(known knowns), 우리가 모른다는 것을 아는 것들이 있으며(known unknowns), 우리가 모른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것들(unknown unknowns)이 있다."프로그래밍 맥락에서 이 세 가지 지식 상태를 생각해 봅시다:Known knowns: 개발자가 확실히 알고 있는 지식입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능숙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 자신이 만든 코드의 기능, 또는 자주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의 API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Kno.. 2025. 3. 24.
이분탐색 까다로운 구현 마스터하기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 보면 자주 만나게 되는 이분탐색(Binary Search)은 개념은 단순하지만, 막상 구현하려면 생각보다 많은 함정에 빠지기 쉽습니다. 아래와 같은 경우를 다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죠:시작점이나 끝점을 넘어가는 경우. ex) 배열에 (3,5,7,9)가 저장되어 있는데 1을 찾음답이 없는 경우. ex) 배열에 (3,5,7,9)가 저장되어 있는데 4를 찾음양 끝점이 답인 경우. ex) 배열에 (3,5,7,9)가 저장되어 있는데 3을 찾음배열에 숫자가 중복되는 경우. ex) 배열에 (3,3,4,4,5,5,5,7,7,9,9)가 저장되어 있는데 가장 오른쪽에 있는 5를 찾음특정 수 미만, 초과, 이하, 이상인 수 찾기. ex) 배열에 (3,5,7,9)가 저장되어 있는데 5 이상인 수 중 최솟값.. 2025. 3. 21.
이분탐색 기초적인 개념 이해하기 오늘은 알고리즘의 세계에서 가장 기본이면서도 강력한 무기 중 하나인 '이분탐색(Binary Search)'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프로그래밍 문제를 해결하거나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검색 알고리즘의 선택은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분탐색의 기본 개념부터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이분탐색이란? (목적과 개요)이분탐색은 정렬된 범위 내에서 특정 값을 효율적으로 찾기 위한 알고리즘입니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업다운 게임'을 떠올려 보세요. 컴퓨터가 1부터 1,000,000 사이의 숫자를 하나 생각하고, 여러분이 숫자를 말하면 컴퓨터는 "업"(더 큰 수를 말하세요) 또는 "다운"(더 작은 수를 말하세요)이라고 알려줍니다. 여러분은 최소 횟수로 컴퓨터가 생각한 수를 맞추면 되.. 2025. 3. 19.